지난 시간까지 호스팅어(hostinger)에 호스팅 구독을 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후에 호스팅어의 관리도구인 hPanel을 살펴보았습니다.
호스팅어라는 호스팅 업체에 호스팅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이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보다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금 이 주소로 운영되는 워드프레스를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로 구성한 것인데, 기본 설치된 워드프레스 싱글 사이트를 멀티 사이트로 바꾸는 설정을 다음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멀티사이트와 싱글사이트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vs 싱글사이트 이해하기
호스팅 의미

호스팅어(hostinger) 같은 웹호스팅 업체에서 호스팅 서비스를 받는다는 것은 그 비용에 해당하는 스펙의 영역을 할당받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50평, 100평 등의 땅을 임대받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해당 넓이만큼의 땅에 집을 몇 채나 지어도 되는지,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들어와도 되는지,
그 땅에 무단침입은 없는지 등 기본 모니터링을 해주는지,
다른 곳에 있는 집을 무료 이전해주는지 등은
호스팅어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규약인 것이죠.
저는 호스팅어를 통해서 총 4년 동안 임대(호스팅)를 받는 것이고,
이 땅의 총 면적(=호스팅 용량)은 200GB 이고,
이 땅 위에 총 100채의 집(=100개의 사이트)을 지어도 되고,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들어와도 되는지는 제한이 없으며 (= 무제한 트래픽),
기본 성능 모니터링과 데이터 이전 등의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호스팅어에서 4년 동안 100채의 집을 지어도 되고 무제한 통행(=트래픽)이 가능한 땅을 이 가격에 임대받은 것은 국내 호스팅 업체와 비교해보면 정말 싼 가격이네요.
참고로 저는 프리미엄 웹호스팅 서비스를 48개월로 구독하였습니다. (링크)
사이트의 의미

사이트는 건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호스팅어에서 임대받은 웹호스팅 대지에 건물을 구축하는 것이죠.
건물은 하나를 지을 수도 있고, 다수 개를 지을 수도 있겠죠.

건물의 형태가 단독주택일 수도 있고, 공용주택일 수도 있는데 이를 싱글과 멀티로 구분합니다.
싱글 사이트와 멀티 사이트 차이
싱글 사이트는 단독주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인이 저 혼자인 그런 집이죠.
만약 그 땅에 집을 한 채만 짓는다면 그 땅을 그 집 한 채로 오롯이 소유하고 이용하는 것이죠. (미국의 대저택과 비슷하겠네요.)
멀티 사이트는 공동주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빌라, 아파트나 상가, 주상복합 같은 공동주택과 개념이 비슷하죠.
우리 가족만 있는 게 아니라 여러 집이 같이 살죠.

호스팅어 호스팅 서비스에는 총 100개의 사이트를 개설할 수 있는데 이 개설하는 사이트는 단독주택이어도 되고, 아파트여도 되고, 상가여도 되고, 빌라여도 되고 상관이 없습니다.
혹은 단독, 공용 등 복합적으로 지어도 상관 없습니다.
개수만 맞추면 되니까요.

이 단독주택이나 공용주택을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지어도 되고, Joomla로 해도 되고, 맨땅에서 그냥 개발해서 나만의 전원주택을 지어도 상관이 없죠.
하지만 워드프레스가 가장 인기 있는 주택의 형태이기에 선호하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싱글사이트는 나 혼자 쓰는 단독주택이고,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는 여럿에게 상가를 또다시 임대해줄 수 있는 공동주택이 되는 것입니다.
아파트나 상가 같은 공동주택은 개별 집 공간 외에 관리사무소가 있어서 그곳을 통해 임대나 이용 등을 허가받고 설치하는 것처럼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도 개별 공간(ex: blog, www, store) 외에 관리사무소에 해당하는 공간(네트웍 어드민)이 별도로 있습니다.

이곳 noworrybehappy.com 도메인에는 제가 멀티사이트로 워드프레스 구성을 했고, 아래처럼 주소와 역할이 부여되어있습니다.
- noworrybehappy.com: 관리사무소 (= 워드프레스 개념으로는 네트워크 관리자)
- www.noworrybehappy.com: 대표 주소
- blog.noworrybehappy.com: blog
- wp.noworrybehappy.com: wordpress 탐구
- muse.worrybehappy.com: 음악 감상
개별 상가인 www, blog, wp, muse 등에 단독으로 무엇인가(ex: plugin, theme)를 설치할 수는 없고, 관리사무소인 네트웍 관리자를 통해서만이 plugin, theme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별 사이트별로 해당 기능을 쓰고 안 쓰고는 선택할 수 있고요.
정말 사람 사는 구조와 똑같이 되어있으니 이해는 쉬울 것입니다.
- 호스팅 = 땅 임대
- 싱글사이트= 단독주택
- 멀티사이트 = 공동주택
멀티사이트 장단점

공동주택의 장단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용 인프라가 있기 때문에 각 상가 별로 개별 구축할 필요가 없이 공동에서 구축하면 모든 상가가 다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어느 날 아파트에 수영장이 들어서면 그 아파트에 사는 분들은 그 수영장을 다 이용할 기회가 있는 것이죠. 물론 이용 안 할 선택도 가능하고요.
단점은 전용이 아니고 공용이기 때문에 그 수영장을 수리해야 하면 모두가 이용 못 하는 불편함이 생기죠.
즉, 혜택도 같이, 불편도 같이…

단독주택은 일일이 다 관리해야 하지만 혼자서 오롯이 쓸 수 있다는, 즉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죠.
정리
제가 구독한 호스팅어 비즈니스 상품은 총 100개의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100개를 단독주택만으로 지을지, 단독과 공용주택을 섞어서 지을지는 제 마음입니다.
워드프레스에는 멀티사이트라는 기능이 있어서 하나의 워드프레스 공동주택하에 여러 상가를 임대할 수 있습니다. (개별 호스트)
워드프레스 멀티 사이트를 구축하면 개별 사이트 외에 네트웍 어드민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이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로 이해하면 이해가 편합니다.
멀티사이트는 공용주택과 같아서 관리의 편의성이 있지만, 공동 인프라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사이트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