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검색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사이트를 구글에 등록해야합니다.
오늘은 소유하고 있는 ‘도메인 단위’로 구글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도메인 등록하기
도메인 등록과 사이트 등록의 차이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하면 도메인 속성 등록과 URL 접두어 속성 등록 중에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 noworrybehappy.com 은 도메인 주소이고, wp.noworrybehappy.com 은 개별 사이트 주소입니다.
이렇게 도메인 레벨로 등록하는 것이 도메인 등록이고, 프로토콜(http, https), 접두어(www, support 등)까지 지정하여 정확하게 개별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이 URL-Prefix 레벨의 속성 등록입니다.
도메인 레벨 속성 등록의 장점은 도메인 레벨로 소유 인증을 거쳐 등록을 하면 그 하위 레벨은 추가 인증 없이 바로 등록이 된다는 것이죠.
즉, noworrybehappy.com 도메인 레벨로 등록을 하면 그 이후에 wp.noworrybehappy.com 이나 muse.noworrybehappy.com 등은 프리패스(free pass) 인 것입니다.
저는 워드프레스도 멀티사이트로 구축하였으니 앞으로 사이트 개설이 많을 것이라 도메인 레벨로 등록합니다.
도메인 레벨의 속성 등록은 DNS를 통한 인증을 거치게 되어있습니다.
도메인 레벨 속성 등록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도메인 속성에서 본인의 보유 도메인 이름을 적고 ‘계속’을 누릅니다.
저의 경우는 ‘noworrybehappy.com’을 입력합니다.

도메인 레벨 속성 추가는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DNS TXT 방식과 DNS CNAME 방식이 있는데 TXT 방식을 권장한다고 하네요.
안내되어있는 TXT 레코드를 ‘복사’버튼을 눌러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저 복사한 TXT 레코드를 도메인의 네임서버(DNS)에 등록하고나서 이 창의 ‘확인’ 버튼을 눌러야합니다.
이제 DNS 작업을 할 곳으로 갑니다.
저는 호스팅어를 네임서버로 하였으니 호스팅어 hpanel로 접속합니다.

본인 소유의 도메인 관리화면에서 Advanced -> DNS Zone Editor에 보면 기 설정된 DNS 레코드가 보이고 이곳에서 TXT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위쪽에 보면 Manage DNS Record 블록이 보이는데 그곳에서 추가합니다.

Type은 TXT, Name은 @, TXT Value에 아까 복사한 값을 ‘붙여넣기’로 그대로 넣어주고 Add Record 버튼을 눌러 추가합니다.

TXT 타입으로 값이 잘 추가되었습니다.
이제는 다시 구글 서치콘솔로 가서 소유 인증을 마무리해야합니다.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DNS 레코드는 전파되는데 시간이 좀 소요될 수도 있어서 값을 제대로 입력했더라도 소유권 확인이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값을 제대로 입력했다면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그럼 이제 도메인 레벨로 속성 추가를 하였으니 실제 하위 사이트, 저의 경우에는 wp.noworrybehappy.com 을 추가 등록합니다.
이 경우에도 URL-Prefix 속성 등록이 아닌 도메인 레벨로 등록합니다.

하위 도메인인 wp.noworrybehappy.com 을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이미 도메인 레벨로 인증이 되었기에 별다른 작업 없이 바로 자동 확인이 됩니다. 좋네요.
‘속성으로 이동’해서 보면 도메인 레벨과 하위 사이트 레벨이 나란히 등록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
구글 검색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를 구글 서치콘솔을 통해 구글 검색엔진에 등록해야하는데 도메인 레벨로 소유 인증을 하면 하위에 속한 개별 사이트는 추가 인증 없이 바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도메인 레벨 등록은 DNS 레코드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제 사이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했으니 사이트에 글이 발행되면 해당 글을 구글이 인지하고 크롤링 및 색인할 수 있도록 사이트맵을 등록해줘야합니다.
다음에는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