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세계 검색엔진 순위를 보면 구글이 89.7%의 점유율로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MS의 빙(Bing)이 3.97%로 1위와 간극이 큰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을 등록했으니 이제는 2위 검색엔진인 MS Bing에도 사이트와 사이트맵을 등록합니다.
MS Bing의 점유율은 3.97%로 그리 높지 않지만 현재 AI의 적극 도입과 함께 검색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고, IndexNow등 재미있는 기능도 적용하기 때문에 앞으로 기대가 되는 검색엔진이거든요.
MS Bing은 구글 서치콘솔에 해당하는 웹마스터툴을 통해서 등록을 하게 되는데, 이미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 등록이 되어있다면 서치콘솔에서 바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어 훨씬 빠르고 편하게 사이트 등록과 사이트맵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세계 2위 검색엔진인 MS Bing 웹마스터툴에 사이트와 사이트맵을 등록해보겠습니다.
MS Bing 웹마스터툴 사이트 등록 from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 등록
MS 빙(Bing)의 웹마스터툴에 접속합니다.
URL: https://www.bing.com/webmasters/home

웹마스터툴에 사이트를 등록하려면 계정이 필요합니다.
Microsoft 계정 뿐만이 아니라 구글 계정이나 Facebook 계정으로도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면 웹마스터툴 현황판이 나옵니다.
왼쪽 위쪽의 ‘사이트 목록’에서 ‘+ 사이트 추가’를 선택합니다.

MS Bing 웹마스터툴에 사이트를 추가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 구글 서치콘솔(GSC)로부터 가져오기
- 수동으로 추가하기
이 중 수동으로 추가하는 것은 전에 구글에서 등록한 것처럼 사이트 소유인증을 하기 위해 정해진 코드나 파일을 넣는 작업을 하고, 사이트맵을 등록합니다.
과정이 비슷하니 전에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던 과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서치콘솔로부터 가져오는 기능은 이미 구글에서 인증한 사이트 정보를 서치콘솔로부터 가져오는 기능으로 이 기능은 MS Bing 웹마스터툴에서만 보았네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에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클릭 몇번으로 구글 계정 인증만 하면 되니 무척 편리합니다.
MS Bing의 구글 점유율에 대한 인정과 추격을 위한 노력과 고심이 느껴집니다.
지난 시간에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을 마쳤으니 구글 서치콘솔(GSC)로부터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GSC로부터 가져오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데이터를 가져오는지 대략적인 가이드를 보여줍니다.
아래의 ‘계속’ 버튼을 눌러 계속 진행합니다.

GSC에 속한 계정을 선택하고, bing이 해당 서비스에 로그인해서 액세스하는 권한 요청과 승인을 진행합니다.



GSC에 등록된 사이트 정보 중에서 MS Bing 웹마스터툴에 아직 없는 정보만 추려서 가져올 것인지를 묻습니다.
현재 이 사이트인 noworrybehappy.com 과 wp.noworrybehappy.com 등 필요한 사이트를 선택하고 실제 ‘가져오기’ 작업을 수행합니다.

끝났습니다.
이렇게 몇번의 클릭으로 계정 인증과 권한 부여만 하면 MS Bing 웹마스터툴로 구글에 등록한 사이트 정보가 추가되었습니다.

웹마스터툴의 왼쪽에 다양한 메뉴가 있습니다.
웹페이지의 검색엔진 노출 현황, 클릭 현황, 백링크 현황도 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이제 막 등록을 했고 아직 색인도 안되었으니 정보가 없지만 앞으로 많은 정보가 쌓이겠지요.
앞으로 MS Bing 웹마스터툴의 기능에 대해서도 선보이겠습니다.

사이트맵 확인
사이트맵도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왼쪽에 ‘사이트맵’ 메뉴를 선택합니다.
GSC에서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했었는데 rss는 빠져있네요.
굳이 안넣어도 상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제 MS Bingbot은 이 사이트맵의 변화를 확인하고, 사이트맵 안에 있는 목록에 기반하여 글을 수집(crawling)하고 색인(indexing)하여 MS Bing 검색엔진에 노출할 것입니다.
다음에는

검색엔진 봇(Bot)이 비정기적으로 와서 글을 수집하는 것이 언제 될지 모르고 기약이 없으니 사이트쪽에서 글이 생성, 변경되었을때 검색엔진에 바로 색인 요청하는 것이 IndexNow입니다.
구글은 이 IndexNow를 지원하지 않고 MS Bing, 한국의 네이버, 러시아의 Yandex, 체코의 seznam, yep등 총 5개 검색엔진이 IndexNow를 지원합니다.
IndexNow의 좋은 점 중의 하나는 IndexNow를 지원하는 한 곳에만 변경을 알려도 다른 검색엔진에도 자동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워드프레스에는 IndexNow를 지원하는 플러그인(plugin)이 많은데 저는 SEO를 위해 RankMath를 쓰고 있는데, RankMath에서도 IndexNow를 지원해서 이미 많은 IndexNow 요청을 했네요.
IndexNow는 ‘여기 링크‘에서 잘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리
전에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한 정보를 기반으로 세계 2위 검색엔진인 MS Bing의 웹마스터툴에 손쉽게 사이트 정보와 사이트맵 정보를 등록했습니다.
MS Bing 웹마스터툴은 여러 현황과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IndexNow라는 신기술도 지원하니 지속 참고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