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색인을 위한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색인 요청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을 등록하였으면 언제일지는 모르나 부지불식 중에 구글의 봇이 사이트에 방문해서 사이트맵에 있는 글들을 긁어가서 색인을 합니다.

하지만 그 일은 언제 일어날지 모릅니다.

보통의 경우 5일에서 10일 정도 걸리고 더 오래 걸리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요즘 같은 때에 너무 오래걸리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지만 전세계 검색엔진의 90%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구글이니 이해가 되기도 하고 조금 이해가 안되기도 하네요.

2024년 세계 검색엔진 순위 및 점유율

이럴 경우 그냥 손 놓고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지만 급한 경우 특정 페이지를 빨리 색인해달라고 개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요청한다고 구글이 꼭 빨리 색인한다는 보장은 없는데 그동안의 경험에 의하면 좀 더 빨리 색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구글 서치콘솔에 개별 페이지를 색인 요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개별 페이지 직접 색인 요청하기

site: 검색으로 색인 현황 확인하기

대부분의 검색엔진은 site: 검색 방식을 제공합니다.

site:사이트 URL <검색어>

site: 검색 방식이란 검색엔진에서 모든 사이트를 대상으로 검색하는게 아니라 지정한 특정 사이트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명령으로 해당 사이트의 글들이 얼마나 색인되었고, 해당 키워드로 얼마나 검색이 되는지 확인할 때 요긴합니다.

이 경우 <검색어>를 넣지 않으면 해당 사이트에 색인된 모든 글을 알 수 있고, <검색어>가 있으면 해당 사이트 내에서 <검색어>에 매칭되는 문서 위주로 볼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창에 여기 블로그 주소를 붙여서 site: 검색을 해봅니다.

site:wp.noworrybehappy.com
구글 site: 검색
구글 site: 검색

총 2건이 검색 결과로 나옵니다.

즉, 총 2건의 글이 구글 검색엔진에 색인되어 등록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는 워드프레스 설치했을 때 기본 생성되어있는 hello world 글이고, 제가 쓴 글은 오직 한 건만 색인되어있네요.

사이트 등록과 사이트맵 등록을 한지 며칠이 지났지만 구글이 아직 제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손님 오실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 손님들이 이곳의 존재를 알지 못하니 어서 개별 페이지 색인 요청을 해야겠습니다.

현재까지 쓴 글들을 모두 개별 색인 요청하기 위해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합니다.

서치콘솔에서 색인 요청하기

전에 사이트 등록사이트맵 등록을 했던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URL: https://search.google.com/u/2/search-console/welcome

원하는 ‘속성'(사이트)를 선택하고 나면 현황판(dashboard)에서 실적이 나오는데 아직 실적이 전무합니다.

색인이 되어있지 않으니 검색엔진에서 노출이 안될 것이고, 예비 손님들이 이곳의 URL을 알지도 못하니 실적이 있을 수 없지요.

여기서 실적이라고 하면 검색엔진에서 클릭으로 인한 유입을 의미합니다.

서치 콘솔 개요_아직 실적 없음_색인 하나
서치콘솔 현황판 개요 아직 실적 없음

대시보드를 보면 색인은 1건 되어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현황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현황

페이지의 존재는 총 7건 인지하고 있으나 색인은 1건만 되었고 나머지 6건은 크롤링도 하지 않았네요.

이곳 블로그의 글이 계속 쌓이고 있으니 손님들이 어서 오시면 좋겠습니다.

그동안 쓴 모든 글을 개별로 색인 요청을 하기 위해 해당 글의 현황을 확인해봅니다.

서치콘솔 상단에 있는 주소창에 글의 URL을 넣으면 해당 글의 색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색인 현황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URL 입력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색인 현황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색인 현황

크롤링이 되어 색인이 완료된 글의 경우 위처럼 구글에 등록되어있다고 나옵니다.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결과 색인 생성 요청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결과 색인 현황 확인

반면 아직 색인이 안된 글의 경우는 구글에 등록되지 않았다고 나오고 실제 URL 테스트를 통해 등록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옆에 있는 ‘실제 URL 테스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URL 테스트 중
구글 서치콘솔 URL 테스트 중

‘실제 URL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아마도 실제로 해당 글을 가져와서 여러모로 분석을 하는 듯 합니다. 시간도 1~2분 정도 소요되어 구글에 등록할만한 요건을 갖춘 글인지 테스트 하는 것 같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결과_색인 생성 요청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결과 색인 생성 요청

구글의 자체 검사 결과 다행이 해당 URL의 글을 구글에 등록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이제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눌러서 색인을 요청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확인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확인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확인
구글 서치콘솔 색인 생성 요청 확인

이렇게 하나의 글을 구글에 색인 요청하였습니다.

이렇게 개별 요청을 하면 비정기적으로 구글의 봇이 와서 크롤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색인이 되더라고요.

현재까지 쓴 글을 모두 이렇게 개별 색인 요청하였습니다.

어서 손님들이 이곳에 오셔서 이곳이 북적북적이면 좋겠습니다.

조만간 색인현황과 방문 현황을 다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렇게 개별 색인 요청을 하는 방식을 보다 체계화한 IndexNow 라는 방식을 MS Bing, Yandex, 네이버 등에서 적용하였다고 합니다.

빠른 색인에 도움이 되는 IndexNow에 대해서도 조만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정리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구글의 봇(Bot)이 비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사이트맵에 기록된 문서를 크롤링하고 색인을 하지만 시간이 좀 걸리는 편입니다.

이럴 경우 문서를 개별로 색인 요청하면 보다 빠르게 색인이 이루어집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